티스토리 뷰
목차
갑작스러운 폭설, 강풍,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해 항공편이 취소되는 경우,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거나 들어봤을 텐데요. 막상 그런 상황이 닥치면 정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. 저도 작년 제주도 여행 중 폭설로 인해 비행기가 결항돼 공항에서 꼼짝없이 하루를 보낸 경험이 있었는데요.
그때 제대로 대처 방법을 몰라서 많이 당황스러웠는데, 미리 대처 방법을 알고 있었다면 좋았을텐데라고 후회했어요. 그래서 이번에 항공편 결항 시 알아둬야 할 정보들을 정리해봤습니다. 결항 기준부터 보상 여부, 보험 청구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만 알려드릴께요.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차분히 대처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세요.
✅ 항공기 지연 결항 시, 보상 받을 수 있나요?
항공기 지연 혹은 결할시 다음과 같은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▶️ 국내선 보상 기준
- 지연 1시간 이상: 운임의 10%
- 2~3시간: 20%
- 3시간 이상: 30%
- 결항 후 대체편 3시간 이내 제공: 20%
- 3시간 이상 지연 시: 30%
- 12시간 내 대체편 미제공 시: 전액 환급 + 바우처 제공
▶️ 국제선 보상 기준
- 지연 2~4시간: 10%
- 4~12시간: 20%
- 12시간 초과: 30%
- 결항 후 대체편 4시간 이내 제공: $200
- 4시간 초과: $400
- 결항 4시간 이상 + 대체편 4시간 내 제공: $300
- 4시간 이상 지연 시: $600 + 전액 환급 가능
※ 단, 천재지변(기상 악화, 항공기 결함 등)은 보상 제외입니다.
비행운항 실시간 정보 확인
- 항공기상청 홈페이지: 국내 공항별 기온, 풍속, 적설 등 기상정보 확인
- 항공정보포털시스템: 지연·결항 등 실시간 항공기 운항 현황
- 각 항공사 홈페이지 & 문자 알림: 결항 및 탑승 여부 확인
항공기 결항 통보 받았을때 절차는?
혹시라도 자신이 타게 될 항공기가 결항되었을 경우, 아래 순서대로 꼭 체크해보세요.
① 공항 내 항공사 카운터 방문
결항 통보를 받았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공항에 있는 해당 항공사 카운터로 가서 대체 항공편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.
- 대체 항공편이 있을 경우: 바로 재예약 가능
- 대체 항공편이 없을 경우: 대기 걸거나, 환불 후 다른 항공사 항공편 알아보기
📌 하지만 기상 악화로 인한 결항은 다른 항공사도 동일하게 결항될 가능성이 높아요.
이럴 땐 대부분 환불 후 출발 일정을 연기하는 쪽을 선택하는 편이 많습니다.
② 결항 확인서 꼭 요청하세요
결항 통보를 받은 뒤 항공편을 이용하지 못했다면 반드시 항공사에 ‘결항확인서’를 요청해야 합니다.
📬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 후 이메일이나 팩스로 받을 수 있어요. 이 결항확인서는 단순 참고용이 아니라 정말 중요한 서류인데요.
항공사에서 자동으로 발급되지 않으니 반드시 직접 신청하셔야 해요.
- 렌터카 예약 취소 시
- 숙박업소 환불 요청 시
- 보험금 청구 시
➡️ 결항확인서가 있어야 위약금 없이 취소하거나, 피해 보상 청구가 가능합니다.
③ 항공권 환불은 각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
기상과 같은 천재지변으로 인한 결항은 항공사의 책임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은 대체 항공편 제공 외에는 별도 보상이 어렵습니다. 따라서 항공권 환불 여부는 각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 환불공시나 안내 팝업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.
보험으로도 보상받을 수 있나요?
일부 손해보험사에서는 아래 항목을 보장합니다: 만약 여행자 보험에 가입을 하셨다면 약관을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고 보상받으실 수 있는지 꼭 체크하세요!
- 항공편 결항 또는 4시간 이상 지연
- 위탁 수하물 6시간 이상 지연
- 대체 항공 수단 미제공 시 비용 보장
- 항공 지연으로 발생한 식사·숙박비·필수품 구매 비용 등
📄 보험 청구 시 필요 서류
- 항공사 결항 확인서
- 탑승권 사본
- 현지 경찰서 도난 신고서 (필요 시)
- 영수증(식사비, 숙박비 등)
마무리
날씨는 순식간에 바뀔 수 있고, 예기치 못한 악천후는 항공편 결항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이런 상황에 대비하려면, 미리 보상 기준과 필요한 서류들을 숙지해두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. 그래야 실제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차분히 대처할 수 있죠.
막상 결항이 발생하면 정신없고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, 대응 요령만 잘 알고 있어도 불필요한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당황하지 말고, 차근차근 상황을 정리하면서 대응하시면 됩니다. 미리 준비해두면 어떤 돌발 상황도 해결할 수 있다는 걸 기억하시기 바랍니다!